Unreal) 클래스 구조
언리얼에도 다양한 클래스들이 등장한다.
언리얼에도 다양한 클래스들이 등장한다.
언리얼 엔진으로 게임을 개발하다 보면, 단순히 C++ 문법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영역들이 등장한다.
촤근 C++ 프로젝트를 접하며 빌드 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원인을 분석하게 되었다.
최근 DX11 프로젝트에서 텍스처 처리를 위해 DirectXTex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했다.
이번에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파트를 해보고 싶었다.
게임을 플레이하다 보면, 캐릭터의 움직임 하나에도 생동감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달리는 동작 중 바닥에 닿는 발걸음마다 흙먼지가 일어나는 연출은, 사소하지만 몰입도를 크게 높여주는 요소 중 하나다. 이번에는 그러한 느낌을 구현하기 위해,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한 흙먼지 이펙트...
툰 셰이딩을 구현하면서 생각지도 못한 벽에 부딪히게 되었다.
Shader를 작성하다 보면 꼭 마주치는 개념이 있다.
Unity에서 셰이더를 다룰 때 자주 마주치는 설정 중 하나가 바로 Surface Type이다.
Unity에서 Shader를 직접 작성할 때, 기본 조명과 그림자 데이터를 받아오는 방법을 정리한다.